상단영역

본문영역

[황환택의 頂門一針] 수박 OUT?

[황환택의 頂門一針] 수박 OUT?

  • 기자명 황환택 대기자
  • 입력 2022.06.23 00:00
  • 수정 2022.10.26 17:0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환택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황환택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뉴스더원=황환택 대기자] 여름철 과일로 수박만 한 것이 없다. 중국에서는 실크로드를 따라 서역으로부터 들어왔다 하여 ‘서과(西瓜)’로 부르고 박 같이 생겼고 물이 많아서 수과(水瓜)라 한다. 겉의 색은 여러 가지이고, 과육은 수분이 많아 달며 적색이지만 황색 또는 백색인 것도 있다. 

우리나라 수박의 도입에 대하여 『도문대작(屠門大嚼)』에서는 고려를 배신하고 몽골에 귀화하여 고려인을 괴롭힌 홍다구(洪茶丘)가 처음으로 개성에다 수박을 심었다고 하였다. 

수박의 가격은 조선 초기에는 한 통 값이 쌀 다섯 말(40㎏)이었다고 한다. 쌀 다섯 말을 지금의 물가수준으로 환산하면 대략 15만 원이 넘는다. 겸재 정선의 수박을 훔친 쥐를 그린 ‘서과투서(西瓜偸鼠)는 유명하다. 여기서 들쥐는 재물을 수박은 씨가 많아 자손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 여름철이기는 하지만 수박 논쟁이 한창이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수박이라는 단어를 쓰는 사람을 가만두지 않겠다”며 강력경고했기 때문이다. 이른바 ‘수박 금지령’이다. 그러나 일부 강성 당원들은 당원 게시판 등에서 '수박'이란 단어를 거침없이 쓰고 있다. 

사실 수박은 겉은 초록인데 속은 빨간 모양을 빗대어 숨어있는 공산주의자를 지칭했다. 그런데 이 수박은 이재명 의원 강성 지지층이 ‘겉은 푸르면서 속은 빨갛다’며 친문(친문재인)계 정치인을 비난할 때 쓰는 표현이다. 

수박 논쟁의 시작은 지난해 9월 민주당 대선 경선 때 이재명 당시 경기지사가 대장동 특혜 의혹을 방어하면서 민주당 일부 의원들에게 ‘수박 기득권자’라고 하면서부터이다. 다시 불붙은 수박 논쟁은 일부 의원이 지방선거 패배에 대하여 ‘이재명 책임론’을 거론하자 강성 이재명 지지층이 이들을 ‘수박’이라고 비난하면서 시작된다. 

이와 관련해 이낙연 측은 “‘수박’이란 표현은 호남을 비하하고 차별하기 위해 만든 일베의 언어”라며 정치의 문제가 아니고 인간에 대한 예의라며 반발하고 있다. 

우리 속담에 ‘되는 집안은 가지 나무에 수박이 열린다’는 말이 있다. 일이 잘되려면 뭘 해도 잘된다는 의미다. 일이 꼬이는 집은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지기도 한다. 

대선과 지선에서 연달아 패한 민주당은 새롭게 전열을 가다듬어야 하는데 죄 없는 수박 탓만 하는 것이 보기에 볼썽사납다. 

두 차례의 선거 패배가 아직 아프지 않은가 보다. 아니면 정치의 속성 탓일 수도 있다. 원래 정치인은 집단의 성패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나의 당락만이 중요하다. 그리고 늘 패거리를 만들고 서로에 대한 비난을 양분으로 살아가는 것일지도 모른다. 

사실 이 수박 논쟁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8월 전당대회를 염두에 둔 계파 간 싸움이다. 전당대회에서 당권을 차지하는 것은 2024년 총선 공천권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나의 당락이 중요한 의원들이 수박 논쟁에 뛰어들고 있다. 대선 경선 과정에서 불거진 계파 갈등이 당권을 두고 충돌하는 것이다. 

지금 민주당이 차기 당권을 두고 그들만의 싸움을 할 때가 아니다. 왜 두 번의 선거에서 패했는지 분석하고 반성해야 한다. 압도적으로 의회를 장악하고 있으면서 연이어 선거에 패배하고서도 반성은 고사하고 책임지려 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분석도 반성도 공부도 개혁도 없이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기며 당권 장악만을 노리며 자신들만의 싸움에 함몰된다면 누가 민주당을 지지하겠는가. 근본적으로 당의 색깔과 목표를 세우고 연구가 필요한 때가 아닌가. 

새가 두 개의 날개로 나는 것처럼 국가도 보수와 진보의 두 날개가 필요하다. 절대권력은 언젠가 절대 부패하게 마는 것은 만고의 진리다. 

이제 애꿎은 수박 타령 그만하고 무더위도 기승을 부리는데 시원한 수박이나 한 통 먹고 정신 차리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뉴스더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